2008/09 14

덕평 자연휴게소

보통 고속도로 휴게소라고 하면 잠깐 들러서 음료수나 하나 먹고 돌아서기 마련이지만 공원처럼 꾸며져 있는 곳이 있다. 영동고속도로 덕평휴게소이다. 그래서 서울로 올라올 때 꼭 들어서 쉬었다 오는 것이 우리 가족의 정규코스가 되었다. 휴게소를 운영하는 곳이 어느 사업자인지 몰라도 제대로된 사업을 하는 것 같다. 보통 휴게소를 들르는 것은 졸려서 잠깐 잠을 자거나 화장실이 급해서 어쩔 수 없이 들르는 경우가 많다. 그렇지만 이 덕평휴게소는 일부러 놀다 가기 위해서 들른다는 것이 여타 휴게소와 다른 점이다. 깨끗한 연못과 시냇물, 정자, 야외조각 등 왠만한 공원이 부럽지 않은 조경을 가지고 있다. 보통 고속도로 휴게소의 화장실에는 오줌 찌린내가 나기 때문에 숨을 멈추고 재빨리 볼일을 서둘러 보고 나오는 경우가 ..

소래포구에서 꽃게 사기

1. 복잡한 소래포구 2008년9월27일 주말에 먹을 꽃게를 사기 위해서 소래포구에 갔었다. 토요일 오후인데 왠 사람들이 이렇게 많은 것일까? 출근길 지하철보다 더 복잡하였기에 한걸음 한걸음 걸을 때 마다 앞사람 등에 바짝 붙어서 옮겨야 할 정도였다. 발 디딜 틈도 없는 이 빽빽한 시장길에 다들 뭐하러 온 것일까? 꽃게가 제철은 아니라 아직은 가격이 약간 싸다. 좀 더 지나면 꽃게의 살이 오르고 가격도 만만찮게 오를 것이다. 그래서 미리 뭐 좀 사먹으러 부지런히들 나온 것일까? 2. 꽃게 가격 시장 입구부터 꽃게 가게가 줄지어 서 있었다. 입구에 있는 아줌마는 안에 들어가도 가격이 똑같다고 그냥 여기서 사라고 했지만 그래도 왠지 더 둘러 봐야 할 것 같아서 시장 안 쪽으로 더 걸어들어갔다. 꽃게의 가격은..

모듈정보 재구성 을 해야 하는가?

최근에 프로프레임 스튜디오 사용자들이 모듈의 입출력구조체의 멤버 항목의 추가 및 삭제할 경우에도 모듈정보 재구성을 하는 것을 보았다. 그러나 사실은 이런 경우에 하는 모듈 정보 재구성은 불필요한 작업이다. 모듈정보 재구성을 해야 하는 경우 1. ARRARY처리하는 DBIO 인 경우 ARRAY 의 개수가 변경된 경우 또는 lock query 를 사용하였다가 해제한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경우 2. 해당모듈의 프로그램의 논리명이 변경된 경우 3. 해당모듈의 프로그램의 입출력 구조체가 변경된 경우 ( 구조체의 멤버변수가 추가/삭제된 변경이 아니라 구조체 자체가 삭제된 후 새로 만들었거나 다른 이름의 구조체로 재지정한 경우를 말함 ) 이것은 정확히 메타정보(EMB형태의 flow를 XML형태로 저장해 놓은 정..

프로프레임 스튜디오 용량 줄이기

프로프레임 스튜디오은 java eclipse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eclipse 에서 제공하는 많은 plugins 들을 그대로 재활용하고 프로프레임의 특수한 기능들을 별도의 plugins 로 추가 재작하여 배포하기 때문에 그 용량이 상당히 크다. 기본 100M 정도 부터 시작된다. 여기에 프로프레임 특화 기능을 위한 plugin 들이 추가되고 헬프파일들이 추가되면서 200M 정도가 기본 사이즈 이다. 여기에서 부터 시작해서 스튜디오를 사용하면 사용할수록 history 가 계속 쌓이게 되어 그 디렉토리의 디스크 용량이 점점 커지게 된다. 지난 6월 부터 2개월 남짓 사용하였는데 벌써 1.38 G 나 차지하고 있다. 이 중에서 실제 필요한 부분은 400M 정도면 충분하다. 물론 help파일이나 이런 것들을 ..

모두빌드 기능 사용 정지 시키기

프로그램을 작성하다가 Ctrl-V 를 누르려고 하다가 실수로 Ctrl-B 를 눌러서 난감한 경우가 있다. Ctrl-B는 모두빌드 인데 이것을 누르면 프로프레임 스튜디오가 행걸려서 풀리지 않기 때문에 강제로 작업관리자에서 프로그램을 죽이는 수 밖에 없다. 당연히 이 때까지 저장하지 않은 작업들은 유실되게 된다. 이것을 막기 위하여 환경설정에서 이 기능을 해제 시킬 수 있다.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두가지 방법을 모두 적용해 놓으면 안심이다. 1. 빌드 순서 삭제 환경설정 -> 일반 -> 작업공간 -> 빌드순서에 가서 등록되어 있는 프로젝트를 모두 깨끗이 지워 버린다. 이렇게 지워버리면 상단 메뉴에도 disable 되어 실행이 안된다. 2. 단축키(hot key) 삭제 창 -> 환경설정 -> 일반 -> ..

외부 binary 링크하여 컴파일하기

외부 파일에 함수를 만들어 놓고 별도 컴파일 한 후에 최종 실행 파일을 만들 때 이것을 같이 묶어서 컴파일 하는 것을 C 프로젝트에서 많이 사용하게 된다. 이 기초적인 작업의 샘플을 여기에 쉽게 써 보겠다. 두개의 파일을 작성한다. 하나는 func.c 이고 또 하나는 call.c 이다. func.c 에는 함수만 들어 있고 call.c 에는 main함수가 들어 있어 실행이 가능하게 된다. 먼저 func.c 를 다음과 같이 작성했다. #include long func_a(); long func_a() { printf("here is func_a!\n"); return 0; } 함수 이름 앞에는 return type 으로 long 을 지정 했다. 만일 static long func_a() 라고 선언하게 되면 ..

VIEW 의 쿼리에디터 폰트 설정

DBIO를 작성할 때 특히 VIEW나 EXECSQL을 작성할 때 SQL에디터에서 컬럼 줄을 가지런하게 맞추기 위해서는 폰트설정을 해야 한다. 이렇게 가지런한 SQL을 보기 위해서는 프로프레임 스튜디오의 환경설정->프로프레임->DBIO 섹션에서 맞출 수 있다. 나는 개인적으로 Courier New-regular 를 좋아한다. 물론 사이즈는 개인적인 화면의 크기에 따라 맞추면 되겠지만 사이즈 9 정도가 적당하다. 모든 프로그램이 그렇지만 가지런하게 줄을 맞추는 것은 개발자의 기본소양이다. 그래야 자기 자신이 나중에 프로그램 분석할 때도 도움이 되고 남은 사람이 유지보수할 때도 보기에 편하다. 가독성이 떨어지는 프로그램을 만날 때 마다 개발자를 찾아서 한대 패 주고 싶은 것은 누구나 마찬가지 마음일 것이다.

머리가 길었다

근무하고 있는 하나은행 명동허브 빌딩 앞에서 점심을 먹고 한컷을 찍었다. 뒤로 명동 입구가 보이고 왼쪽이 하나은행 명동 허브 빌딩이다. 물론 오른쪽 저 뒤에 길건너 보이는 것이 롯데백화점 영플라자이다. 이제 머리가 상당히 길었다. 이 머리를 두고 가장 괴로와하는 사람은 아들이다. 아들은 아빠 머리 때문에 친구들이 놀린다고 머리를 옛날처럼 깍으라고 거의 읍소를 하다시피 한다. 다들 멋있다고 한다고 했더니 그 사람들은 가족이 아니라서 그렇게 말해 주는 것 뿐이라면서 실제 속마음은 그게 아니다고 하소연한다. 아무래도 곧 다시 깍아야 할까 보다. 다시 머리를 깍아야 할 까 고민이다. 실제로 길을 가다다 아주 어린 아이들을 만나면 나를 자세히 본다. 아마도 남자인 거 같은데 머리가 긴 걸보니 여자인가 싶기도 한 ..

멜번초이는 2008.09.18

소똥치기

시골집에서는 소를 키우는데 보통은 6마리를 키우고 있다. 과거에는 큰 소 한마리가 700만원 정도 했는데 지금은 250만원 정도 한다고 한다. 그나마 짭짤하던 수입이 이제는 사료값이나 인건비도 안 나오는 수준으로 소값이 떨어져서 소키우기를 포기해야 할 정도가 된 듯 하다. 그러나 이놈들은 여전히 매일 똥을 싸기 때문에 치워줘야 한다. 이 소똥치는 작업이 다리와 허리가 안 좋은 노인이 하기에는 상당히 부담되는 작업이라 시골에 내려가면 으례히 소똥을 한발 치우게 된다. 소똥을 먼저 입구 쪽으로 모은 다음에 경운기에 퍼 담는다. 그런 후 경운기로 사과밭으로 싣고 가서 다시 뿌려야 하는데 이것도 제법 힘이 든다. 봄에 뿌리기 위해서 겨우내 밭 귀퉁이에 쌓아 놓고 숙성을 시키기도 한다. 이때 비닐 같은 것으로 덮..

주왕산 주산지

경상북도 청송군에는 주왕산이 있다. 이 주왕산 귀퉁이에 주산지라는 저수지가 있는데 유명하다고 하여 가족들과 같이 가 보았다. 워낙에 예술적 감흥이 없는 터라 동네에 흔히 있는 저수지랑 별반 차이가 없어 보였지만 사진을 몇 장 찍어 왔다. 주산지 주차장에는 이런 돌이 하나 서 있는데 무슨 유명한 영화를 여기서 촬영을 했던 적이 있는 모양이다. 이 주차장에서 한 20분 정도 걸어서 산으로 올라가면 주산지에 도착하게 되는데 비가 안 와서 수량이 많이 줄어 버들나무가 물위로 드러나 있었다. 주산지에는 커다란 버들나무가 30여그루가 있는 것이 특징이란다. 우리가 보통 개울가에서 봐왔던 버들나무는 키가 1미터 남짓하는 연약한 것인데 이 주산지에 있는 버들나무는 나이가 몇살이나 먹었는지 몰라도 엄청 크다. 이 버들나..

반응형